Ann Optom Contact Lens > Volume 21(3); 2022 > Article
광각형광안저혈관조영술을 통한 베체트 포도막염 환자에서의 아달리무맙 치료효과 평가분석

Abstract

목적

베체트 포도막염 환자에서 아달리무맙 치료를 시행한 후 광각형광안저혈관조영술을 통해 치료효과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베체트병으로 진단받고, 조절되지 않는 포도막염으로 아달리무맙 치료를 시작하여 30주 이상 경과 관찰하였던 17명의 환자의 32안에 대해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시행하였다. 광각형광안저혈관조영술을 통해 시신경유두 형광누출, 망막정맥 형광누출, 모세혈관 형광누출 등으로 나누어 포도막염의 상태를 평가하고, 혈관누출을 중심부와 주변부로 나누어 아달리무맙 치료 시작 이후 30주까지의 치료 반응을 평가하였다.

결과

아달리무맙 치료 시행 후 환자들의 최대교정시력과 초광각형광안저혈관조영술 점수는 6주, 14주, 30주 모두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형광누출의 경우 아달리무맙 치료 시작 전과 비교하여 치료 시작 후 30주째 망막정맥과 모세혈관의 형광누출은 현저히 줄었으나(p = 0.032, p = 0.004), 시신경유두 과형광은 상대적으로 지속되었다(p = 0.083). 각 경과 관찰 시기마다 중심부 망막혈관 형광누출의 유의한 감소가 있었으나, 주변부 망막혈관 형광누출의 경우 0-6주, 6-14주, 14-30주 기간 동안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론

베체트 환자의 포도막염 치료효과에 대한 평가 방법으로 광각형광안저혈관조영술을 이용할 수 있다. 망막혈관의 형광누출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 위치에 따라 누출 양상의 차이가 있다.

Abstract

Purpose

To investigate the role of ultra-widefield fluorescein angiography (UWFA) for monitoring the therapeutic response to adalimumab in patients with Behcet’s uveitis.

Methods

Patients with Behcet’s uveitis treated with adalimumab for ≥ 30 weeks were included. Th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grading of anterior chamber cell, grading of vitreous haze, and UWFA findings were assessed at baseline, and at 6, 14, and 30 weeks from the start of adalimumab treatment.

Results

A total of 32 eyes of 17 patients were included.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BCVA and UWFA scores at 6, 14, and 30 weeks after adalimumab administration. UWFA scores for vascular and capillary leakage were decreased at 30 weeks (p = 0.032, p = 0.004), while the UWFA scores for disc hyperfluorescence persisted (p = 0.083). Although vascular and capillary leakage at the posterior pol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6, 14, and 30 week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of the score for peripheral vascular and capillary leakage from baseline to 6 weeks, from 6 to 14 weeks, and from 14 to 30 weeks.

Conclusions

UWFA can be used to evaluate the treatment response of adalimumab in Behcet’s uveitis. The vascular leakage pattern varie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retinal vessels.

배체트병은 만성적으로 악화와 완화를 반복하는 전신 염증 질환으로, 구강 및 성기 궤양, 피부 질환, 포도막염을 비롯하여 다양한 부위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전체 베체트병의 약 30-70%에서 안구 증상이 동반되며, 주로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양안성 전체포도막염, 망막혈관염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1-6].
베체트 포도막염에서 전신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치료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치료 방법이며, mycophenolate mofetil (MMF), methotrexate, azathioprine (AZA), cyclosporine 등과 같은 면역억제제를 병용함으로써 스테로이드의 부작용을 줄이고, 염증 억제효과의 증대를 유도할 수 있다. 최근에는 interferon-α,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nhibitor 등의 생물학적 제제가 개발되면서 조절되지 않는 만성적이고 심각한 포도막염에서 염증 억제 및 장기적인 시력 개선의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5-9]. 앞선 연구들에서 만성 비감염성 포도막염의 치료로써 infliximab, adalimumab (ADA) 등과 같은 TNF-α inhibitor의 효과와 안정성이 입증된 바 있으며, 이 중 ADA는 무작위 대조군 연구를 바탕으로 성인의 비감염성 중간 포도막염, 후포도막염, 전체포도막염의 치료로써 유일하게 미국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및 European Medicines Agency에 의해 승인된 약제이다[10-13].
형광안저혈관조영술(fluorescein angiography, FA)은 혈액망막장벽 내층의 파괴에 의한 플루오레신 조영제의 누출 정도에 따라 베체트병과 관련된 망막혈관염 등의 후포도막염에서 염증의 정도와 범위를 평가하는 유용한 검사 방법이다[14,15]. 기존의 고식적 FA의 경우 후극부 30-50°의 영역만 관찰이 가능하였으나, 한 번의 촬영으로 200° 범위를 촬영할 수 있는 초광각형광안저혈관조영술(ultra-widefield fluorescein angiography, UWFA)이 도입된 이후로 망막혈관염을 비롯한 당뇨망막병증, 망막정맥폐쇄, 맥락막종양 등의 다양한 망막 질환에서 UWFA의 유용성이 보고되었고, 베체트병과 관련된 후포도막염의 상태를 보다 객관적으로 상태를 평가하고 치료를 결정하는 방법으로도 이용되고 있다[14-18].
본 연구에서는 UWFA를 이용하여 베체트병 후포도막염의 ADA에 대한 치료 반응을 평가하고 이를 통해 UWFA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베체트 후포도막염의 치료 반응을 UWFA의 양상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 연구는 헬싱키 선언에 입각한 의학연구 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 아래 진행되었으며, 본 연구와 관련된 이해관계의 상충은 없다(승인번호: H-1901-007-999).
2017년 9월부터 2021년 1월까지 단일기관에 내원하여 베체트병에 동반된 후포막염에 대해 아달리무맙 치료를 시작하고 30주 이상 경과 관찰한 17명의 32안을 대상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 선정 기준은 (1) International Study Group for Behcet’s disease criteria 에 따른 베체트병을 진단받은 경우, (2)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전신 면역억제제에 적절한 반응을 나타내지 않거나 부작용 등으로 치료를 중단한 포도막염에 대해 아달리무맙 치료를 시행한 경우, (3) 아달리무맙 치료 후 30주 이상 경과 관찰을 시행한 경우이며, 해당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환자들을 포함하였다[19]. 베체트 포도막염 외 심한 당뇨망막병증, 망막혈관폐쇄 등 망막혈관을 침범하는 질환이나, 망막전막, 황반원공과 같이 시력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안질환이 동반된 경우, 최대교정시력이 안전수지 이하인 경우, 아달리무맙 치료 시작 후 병변안에 백내장수술과 같은 술기를 시행받은 경우, 매질 혼탁이 심하여 시행한 검사에 대한 평가가 어려운 경우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ADA (Humira®; Abbott Laboratories, Madrid, Spain) 치료를 시작하기에 앞서 모든 환자들은 자세한 병력 청취와 함께 흉부 방사선촬영, interferon-gamma release assays를 포함한 혈액검사를 시행하였고, B형, C형 간염 및 잠복결핵 등의 감염 여부를 확인하였다. 0주차에 80 mg을 피하로 주사한 이후 1주 뒤 40 mg을 피하주사하고, 2주 간격으로 40 mg 피하주사를 지속하였으며, 치료 시작 후 6주 이후 4주마다 치료 반응을 평가하였다. 추적 관찰 시 병변안의 염증 정도에 따라 병용 중인 스테로이드 및 전신 면역억제제의 용량을 조절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ADA 치료 시작 전과 추적 관찰 시 최대교정시력, 안압, 세극등현미경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안저검사, 빛간섭단층촬영검사를 시행하여 염증의 정도와 양상을 확인하였다. 전방의 염증과 유리체 염증의 경우 Standardization of Uveitis Nomenclature Working Group criteria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병용 중인 약제의 용량과 치료제로 인한 부작용 등을 확인하였다[20]. 빛간섭단층촬영기(Cirrus™ HD-OCT; Carl Zeiss Meditec, Dublin, CA, USA)의 내장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중심구역 황반두께(central subfield macular thickness)를 측정하였다.
ADA 치료 시작 전과 치료 시작 6주째, 이후 8주 간격으로 치료 반응 평가를 위해 Optos Optomap panoramic 200A imaging system (Optos plc, Dunfermline, Scotland)을 이용하여 UWFA를 시행하였고, Angiography Scoring for Uveitis Working Group (ASUWG)에서 제시한 방법을 이용하여 시기별 UWFA 점수를 측정하였다. 시신경유두 과형광, 망막 정맥 형광누출, 모세혈관 형광누출을 비롯한 9개의 항목에 대해 평가하였으며, 망막혈관 형광누출의 경우 중심부와 주변부로 구분하여 점수를 측정하였다(Table 1) [21].
통계 분석은 Statistic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sion 27.0 프로그램(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였고, 치료 시작 전과 추적 관찰 시기별 연속성 변수의 비교는 paired t-test, 병변안에서의 시간에 따른 변수의 변화는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enc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의수준 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학적 의의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총 17명의 32안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고, 대상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42.72 ± 11.93세, 남자가 6명, 여자가 11명이었다. ADA 치료를 시작하기 전까지의 평균 베체트 포도막염 유병 기간은 10.38 ± 7.37년이었고, 모든 환자에서 ADA 치료 시작 시 평균 13.98 ± 5.60 mg/day의 프레드니솔론 제제를 복용 중이었다. 또한 총 15명의 28안에서 전신 면역억제제 치료를 병용 중이었으며, 17안에서 MMF, 14안에서 cyclosporine, 2안에서 AZA, 2안에서 tacrolimus 를 복용 중이었다. 총 17안에서는 ADA 치료 시작 이전에 유리체강내, 테논낭하 스테로이드주사 치료를 포함한 평균 2.22 ± 2.93회의 국소 스테로이드주사 치료를 시행받았다 (Table 2).
최대교정시력의 경우 ADA 치료 시작 후 6주에 0.28 ± 0.42, 14주에 0.29 ± 0.41, 30주에 0.28 ± 0.40으로 ADA 치료 시작 전인 0.39 ± 0.43과 비교하였을 때 모든 추적 관찰 시기에서 유의한 시력 호전을 보였으며, 전방염증 정도와 유리체흐림 정도 또한 ADA 치료 시작 전에 각각 0.75 ± 0.61, 0.88 ± 0.61이었으며 6주에 0.38 ± 0.38, 0.41 ± 0.50, 14주에 0.25 ± 0.36, 0.25 ± 0.44, 30주에 0.22 ± 0.38, 0.16 ± 0.37로 모든 추적 관찰 시기에서 ADA 치료 시작 전보다 유의한 감소가 있었고, 세 항목 모두 시간에 따른 유의한 선형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p=0.001, p<0.001, p<0.001) (Table 3).
UWFA 총합 점수는 ADA 치료 시작 전 10.63 ± 5.95점에서 치료 시작 후 6주에 9.50 ± 5.20점, 14주에 8.63 ± 4.40점, 30주에 7.84 ± 3.88점으로 모든 추적 관찰 시기마다 지속적으로 유의한 점수의 감소를 보였으며, 최대교정 시력, 전방 염증 정도, 유리체흐림 정도와 마찬가지로 시간에 따른 유의한 선형 감소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01). 주로 망막정맥에서의 형광누출을 의미하는 망막혈관의 형광누출과 모세혈관의 형광누출의 경우 ADA 치료 시작 전과 비교하였을 때 모든 추적 관찰 시기에서 유의한 형광누출 정도의 호전을 보였는데 반해 시신경 과형광, 황반부종 등의 항목에서는 모든 시기에서 유의한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Table 4). 부가적으로 망막정맥과 모세혈관의 형광 누출 소견을 중심부인 후극부와 그 이외의 주변부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을 시행하였고, ADA 치료 시작 전과 비교 하였을 때 중심부 형광누출의 경우 모든 시기에서 유의한 형광누출의 호전을 보일 뿐 아니라, 6-14주, 14-30주 사이의 유의한 호전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반면 주변부 형광누출의 경우 ADA 치료 시작 전과 비교하였을 때 14주, 30주에는 유의한 형광누출 호전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지만, ADA 치료 시작 전에서 치료 후 6주, 6-14주, 14-30주 각 기간 동안의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Fig. 1).
ADA 치료 시작 시점에서 전신 스테로이드의 복용량은 평균 13.98 ± 5.60 mg/day였으나 ADA 치료 시작 후에 점진적인 복용량의 감량이 있었으며, 치료 30주에는 평균 6.95 ± 3.22 mg/day까지 복용량을 감량할 수 있었다(p<0.001) 그에 반해 다른 전신 면역억제제의 경우 ADA 치료 시작 전과 비교하였을 때 각 시기별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Table 5). ADA 치료 중 치료 시작 6주째에는 전신 스테로이드로 인한 체중 증가 및 안면부종 1명, 안압 증가 1명, 불면증 1명이 확인되었으며, 14주째에는 체중 증가 1명, 30주에는 부작용이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ADA 치료 중 ADA 치료를 중단해야 할 정도의 심각한 부작용 또는 염증의 재발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고 찰

포도막염이 동반된 베체트병에서 아달리무맙의 치료 효과에 대한 국내 보고는 제한적이며, 본 연구에서는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아달리무맙 치료 후 시력의 호전과 함께 염증 정도의 호전 등 베체트 포도막염에서 ADA의 치료 효과를 보고하였다. 이는 앞서 진행되었던 베체트병을 포함한 난치성 비감염성 포도막염에서 ADA의 효과를 연구했던 연구들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14,22-24].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ADA 치료 이후 전신 스테로이드 복용량의 유의한 감소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ADA 치료는 전신 스테로이드 사용을 줄일 수 있고, 그로 인한 부작용을 막는 역할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형광안저혈관조영술은 망막 및 망막혈관의 상태를 보다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어 망막혈관염을 비롯한 다양한 망막혈관 질환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폐쇄성, 괴사성 망막혈관염을 자주 동반하는 베체트 포도막염에서도 후포도막염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는 검사 방법이다[25,26]. 기존에 이용되었던 고식적 FA의 경우 30-50도 범위의 후극부 망막혈관 조영이 가능하여, 검사자의 높은 숙련도가 필요하며 조영제 투여 후 동일한 시간의 주변부의 혈관이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제한점이 있었다. UWFA의 경우 주변부 200도 범위의 망막까지 촬영이 가능하여 고식적 FA 로는 평가가 힘들었던 주변부 망막 및 망막혈관 상태를 보다 쉽고 간편하게 검사할 수 있게 해주었고, 이러한 UWFA 의 장점을 이용하여 베체트 포도막염을 비롯한 포도막염에서 진단 및 치료 반응 평가분석을 시행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다[16,18,26-28]. Leder et al [29]은 23명의 포도막염 환자를 대상으로 고식적 FA, UWFA를 시행하여 해당 검사를 통해 질병의 활성을 확인할 수 있는 비율을 측정하였고, UWFA에서 질병 활성을 확인할 비율이 68%였고, 이는 고식적 FA 에서 질병이 확인된 45%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해당 검사를 통해 치료 방법을 변경하였던 비율을 비교하였는데, 고식적 FA의 경우 10%에서 치료 방법을 변경하였고 UWFA 의 경우 51%에서 치료 방법을 변경한 결과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포도막염의 진단 및 치료에서 UWFA의 가치를 입증하였다. Uzlu et el [30]은 난치성 비감염성 포도막염을 앓고 있는 23명의 44안을 대상으로 ADA 치료를 시행한 이후 UWFA 등을 통해 치료 반응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형광 누출의 범위를 기준으로 ADA 치료 시작 전에 비해 치료 후 3개월, 6월째 유의한 형광누출 범위의 감소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베체트 포도막염 환자를 대상으로 망막혈관염의 정도를 평가한 연구에서는 UWFA를 이용하여 망막혈관염의 확인하고, ASUWG에서 제시한 점수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염증의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고식적 FA를 이용한 점수와 비교하였을 때 UWFA의 활용 가능성을 보고하기도 하였다[31]. 본 연구에서도 ASUWG에서 제시한 방법을 바탕으로 베체트 후포도막염 환자의 UWFA 점수를 측정하였으며, ADA 치료 시작 전부터 ADA 치료 6주, 14주, 30주까지 시간이 지나면서 지속적으로 UWFA 점수의 감소, 즉 후포도막염 활성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ADA 치료 이후 BCVA, 전방 염증, 유리체흐림 정도의 지속적인 호전과 같은 흐름을 보여주는 결과로 베체트 포도막염 환자에서 ADA의 치료 반응 평가 방법으로써 UWFA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ADA 치료 시작 이후 UWFA 평가를 통해 모세혈관을 포함한 망막혈관의 형광 누출, 염색이 지속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지만, 시신경유두 과형광의 경우 감소하는 경향은 보이나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앞선 연구에서 보고된 것처럼 모세혈관을 포함한 망막혈관의 형광누출은 후포도막염의 활성도를 보여주며, 치료 반응을 평가 하고 치료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소견 중 하나이다[28,32]. Keino et el [33]은 베체트 후포도막염에서 infliximab 치료가 망막혈관 형광누출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치료 후 형광누출의 유의한 감소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Kim et el [14] 연구에서 또한 ADA 치료에 대해 모세혈관 및 망막정맥의 형광누출의 유의한 감소를 확인하였으며, 반면 시신경유두의 과형광은 비교적 지속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본 연구의 결과와 상응하는 결과이며, BCVA, 전방 염증, 유리체흐림 등 포도막염의 상태와 관련된 인자들의 ADA 치료 후 변화를 고려하였을 때 시신경유두 과형광에 비해 모세혈관을 포함한 망막정맥의 형광누출에 대한 평가가 베체트 후포도막염의 활성도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한편, UWFA의 도입으로 주변부 망막에 대한 검사가 가능해지면서 주변부 망막혈관염에 대한 연구들 또한 진행되었는데, Campbell et el [32]은 포도막염에서 주변부 망막혈관의 형광누출만으로는 임상적인 큰 의미가 없지만, 황반부종과 같은 다른 혈관조영술검사 소견이나 염증의 활성도를 보이는 다른 임상 정보들과의 유의한 관련성을 보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다른 연구에서는 주변부 망막혈관의 형광누출이 중심부 형광누출과의 관련성은 있지만, 시력 예후와의 유의한 관련성은 적으며, 고식적 FA 소견과 비교하여 추가적인 주변부 망막혈관조영 소견이 치료를 결정하는 데에는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8,34,35]. 이렇듯 본 연구에서도 ADA 치료에 따른 주변부 망막혈관의 형광누출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이를 중심부 망막혈관의 형광누출 양상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ADA 치료 시작 전과 비교하여 중심부 모세혈관 및 망막정맥의 형광누출 정도는 치료 시작 후 6주째부터 지속적으로 유의한 감소 소견을 보였다. 그러나 주변부 모세혈관 및 망막정맥의 형광 누출 정도는 치료 시작 전과 비교하였을 때 치료 시작 후 14주째부터 유의한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고, 치료 시작 전에서 6주, 6주에서 14주, 14주에서 30주 각각의 기간 동안에는 누출 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ADA의 치료와 함께 포도막염의 호전이 이뤄짐에 따라 중심부의 망막혈관 형광누출의 지속적인 감소가 확인되었으나, 주변부에서는 상대적으로 형광누출의 변화 정도가 적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의 수가 적고,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기반으로 진행한 연구이므로 추적 관찰 시의 전방 염증 및 유리체흐림의 정도는 검사자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고, 부작용의 유무에 대한 정보누락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경과 관찰 기간이 30주로 짧아 ADA의 치료효과 및 UWFA 양상의 분석에 대한 해석에 제한점이 있기 때문에 향후 다수의 베체트 포도막염 환자를 대상으로 ADA 치료 후 장기간의 추적 관찰을 시행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추가적으로 후포도막염의 상태를 평가함에 있어 UWFA 평가 항목 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수있다.
결론적으로 UWFA는 베체트 후포도막염에 대한 ADA 치료 반응의 평가하는 데 유용하며, UWFA를 통해 치료 반응을 평가하는 데 있어 시신경유두 과형광이나 황반부종보다는 망막혈관의 형광누출의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모세혈관을 포함한 망막혈관 형광누출의 위치가 중심부인지 주변부인지에 따라 누출 양상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to disclose.

Figure 1.
Ultra-widefield fluorescein angiography-based score change of vascular leakage at the posterior pole and peripheral area in patients with Behcet’s uveitis treated with adalimumab. Significant decrease of vascular leakage score at the posterior pole between baseline and 6 weeks, between 6 and 14 weeks, and between 14 and 30 weeks, whereas no significant change of the vascular leakage score at the peripheral area. The p-value was derived from paired t-test. *p < 0.05.
aocl-2022-21-3-114f1.jpg
Table 1.
Fluorescein angiographic scoring system
Angiographic sign Score
Optic disc hyperfluorescence 3
Macular edema 4
Retinal vascular staining/leakage
 Posterior pole 3
 Peripheral area 4
Capillary leakage
 Posterior pole 2
 Peripheral area 8
Retinal capillary nonperfusion 6
Neovascularization of the optic disc 2
Neovascularization elsewhere 2
Pinpoint leaks 2
Retinal staining/pooling 4
Total 40
Table 2.
Demographics and baseline ocular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 Value
Number of patients 17
Number of eyes 32
Sex, male/female 6/11
Age (years) 42.72 ± 11.93
Phakia/pseudophakia 23/9
Duration of uveitis before adalimumab therapy (years) 10.38 ± 7.37
Number of local steroid injection 2.22 ± 2.93
Prednisolone dosage at start of ADA start (mg/day) 13.98 ± 5.60
Immunosuppressive agent at start of ADA start
 MMF 17 (53.0)
 Cyclosporine 14 (44.0)
 AZA 2 (6.0)
 Tacrolimus 2 (6.0)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number, or eyes (%) unless otherwise indicated.

ADA = adalimumab; MMF = mycophenolate mofetil; AZA = azathioprine.

Table 3.
Ocular characteristics change from baseline to 30 weeks after start of ADA
Parameter Baseline 6 weeks 14 weeks 30 weeks p-value
BCVA (logMAR) 0.39 ± 0.43 0.28 ± 0.42 0.29 ± 0.41 0.28 ± 0.40 0.001
p-value 0.002 <0.001 0.001
IOP (mmHg) 16.25 ± 3.57 15.50 ± 2.19 15.25 ± 2.46 14.72 ± 2.41 0.155
p-value 0.147 0.146 0.022
CSMT (μm) 267.31 ± 63.06 267.31 ± 59.75 261.94 ± 57.50 267.03 ± 66.52 0.892
p-value 1.000 0.423 0.950
Anterior chamber cell grade* 0.75 ± 0.61 0.38 ± 0.38 0.25 ± 0.36 0.22 ± 0.38 <0.001
p-value <0.001 <0.001 <0.001
Vitreous haze grade* 0.88 ± 0.61 0.41 ± 0.50 0.25 ± 0.44 0.16 ± 0.37 <0.001
p-value 0.001 <0.001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ADA = adalimumab; BCVA =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logMAR =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IOP = intraocular pressure; CSMT = central subfield macular thickness.

* Standardization of Uveitis Nomenclature Working Group;

p-values derived from paired t-test, comparison of the visual acuity in time given to the initial value;

p-value derived from repeated measures-analysis of varience, linear change over time.

Table 4.
UWFA score change from baseline to 30 weeks after start of ADA
Parameter Baseline 6 weeks 14 weeks 30 weeks p-value
UWFA score 10.63 ± 5.95 9.50 ± 5.20 8.63 ± 4.40 7.84 ± 3.88 <0.001
p-value 0.004* 0.001* <0.001*
Optic disc hyperfluorescence 1.91 ± 0.78 1.81 ± 0.74 1.78 ± 0.71 1.72 ± 0.68 0.108
p-value 0.083* 0.211* 0.083*
Macular edema 1.34 ± 1.33 1.25 ± 1.30 1.31 ± 1.31 1.03 ± 0.93 0.011
p-value 0.184* 0.745* 0.010*
Retinal vascular staining/leakage 1.16 ± 1.69 0.91 ± 1.35 0.75 ± 1.16 0.56 ± 1.05 0.003
p-value 0.030* 0.010* 0.002*
Capillary leakage 4.66 ± 2.38 4.19 ± 2.56 3.88 ± 1.88 3.75 ± 1.88 0.007
p-value 0.033* 0.027* 0.004*
Capillary nonperfusion 0.13 ± 0.42 0.13 ± 0.42 0.13 ± 0.42 0.13 ± 0.42 1.000
p-value 1.000* 1.000* 1.000*
NVD 0.06 ± 0.25 0.06 ± 0.25 0.06 ± 0.25 0.06 ± 0.25 1.000
p-value 1.000* 1.000* 1.000*
NVE 0.03 ± 0.18 0.03 ± 0.18 0.03 ± 0.18 0.03 ± 0.18 1.000
p-value 1.000* 1.000* 1.000*
Pinpoint leakage 0.19 ± 0.47 0.16 ± 0.37 0.09 ± 0.30 0.09 ± 0.30 0.088
p-value 0.325* 0.083* 0.083*
Retinal staining/subretinal pooling 1.19 ± 1.72 1.03 ± 1.66 0.68 ± 1.35 0.55 ± 1.21 0.005
p-value 0.169* 0.027* 0.009*
Vascular leak at posterior pole 1.53 ± 1.24 1.16 ± 1.11 1.03 ± 1.09 0.91 ± 0.93 <0.001
p-value 0.008* 0.001* <0.001*
Vascular leak at peripheral area 4.28 ± 2.41 3.94 ± 2.50 3.59 ± 1.97 3.40 ± 2.05 0.007
p-value 0.062* 0.027* 0.006*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ADA = adalimumab; UWFA = ultra-widefield fluorescein angiography; NVD = neovascularization at disc; NVE = neovascularization elsewhere.

* p-values derived from paired t-test, comparison of the visual acuity in time given to the initial value;

p-value derived from repeated measures-analysis of varience, linear change over time.

Table 5.
Treatment change from baseline to 30 weeks after start of ADA
Baseline 6 weeks 14 weeks 30 weeks p-value
Steroid (mg/day) 13.98 ± 5.60 10.16 ± 4.26 8.36 ± 3.79 6.95 ± 3.22 <0.001
p-value <0.001* <0.001* <0.001*
MMF (mg/day) 234.38 ± 237.06 203.13 ± 232.77 203.13 ± 232.77 195.31 ± 208.05 0.347
p-value 0.161* 0.161* 0.282*
Cyclosporine (mg/day) 41.94 ± 59.30 41.94 ± 46.72 41.13 ± 46.79 33.87 ± 45.44 0.161
p-value 0.904* 0.282* 0.206*
AZA (mg/day) 6.25 ± 24.59 0.00 0.00 0.00 1.000
p-value 0.161* 0.161* 0.161*
Tacrolimus (mg/day) 6.31 ± 24.58 6.31 ± 24.58 6.31 ± 24.58 6.31 ± 24.58 0.161
p-value 1.000* 1.000* 1.000*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ADA = adalimumab; MMF = mycophenolate mofetil; AZA = azathioprine.

* p-values derived from paired t-test, comparison of the visual acuity in time given to the initial value;

p-value derived from repeated measures-analysis of varience, linear change over time.

REFERENCES

1) Saleh Z, Arayssi T. Update on the therapy of Behçet disease. Ther Adv Chronic Dis 2014;5:112-34.
crossref pmid pmc pdf
2) Ideguchi H, Suda A, Takeno M, et el. Behçet disease: evolution of clinical manifestations. Medicine (Baltimore) 2011;90:125-32.
crossref pmid
3) Davatchi F, Chams-Davatchi C, Shams H, et al. Behcet’s disease: epidemiology, clinical manifestations, and diagnosis. Expert Rev Clin Immunol 2017;13:57-65.
crossref pmid
4) Deuter CM, Kötter I, Wallace GR, et al. Behçet's disease: ocular effects and treatment. Prog Retin Eye Res 2008;27:111-36.
crossref pmid
5) Celiker H, Kazokoglu H, Direskeneli H. Conventional immunosuppressive therapy in severe Behcet’s uveitis: the switch rate to the biological agents. BMC Ophthalmol 2018;18:1-7.
crossref pmid pmc pdf
6) Hu Y, Huang Z, Yang S, et el. Effectiveness and safety of anti-tumor necrosis factor-alpha agents treatment in Behcets’ disease-associated uveit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Front Pharmacol 2020;11:941.
crossref pmid pmc
7) Moon JW, Song SJ, Koo BK, et el. Short-term effects and side effects of tacrolimus for Behcet's uveitis. J Korean Ophthalmol Soc 2007;48:1654-62.
crossref
8) Kim JH, Lee DW, Cho NC. The efficacy of infliximab in refractory uveitis.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50-5.
crossref
9) Lee SH, Yoo YS, Oh HS. The effect of adalimumab on refractory uveitis. J Korean Ophthalmol Soc 2020;61:746-54.
crossref pdf
10) Sfikakis PP, Kaklamanis PH, Elezoglou A, et al. Infliximab for recurrent, sight-threatening ocular inflammation in AdamantiadesBehçet disease. Ann Intern Med 2004;140:404-6.
crossref
11) Biester S, Deuter C, Michels H, et al. Adalimumab in the therapy of uveitis in childhood. Br J Ophthalmol 2007;91:319-24.
crossref pmid pmc
12) Jaffe GJ, Dick AD, Brézin AP, et al. Adalimumab in patients with active noninfectious uveitis. N Engl J Med 2016;375:932-43.
crossref pmid
13) Nguyen QD, Merrill PT, Jaffe GJ, et al. Adalimumab for prevention of uveitic flare in patients with inactive non-infectious uveitis controlled by corticosteroids (VISUAL II): a multicentre, double-masked, randomised, placebo-controlled phase 3 trial. Lancet 2016;388:1183-92.
crossref pmid
14) Kim BH, Park UC, Park SW, Yu HG. Ultra-widefield fluorescein angiography to monitor therapeutic response to adalimumab in Behcet’s uveitis. Ocul Immunol Inflamm 2021 Apr 1 doi: 10.1080/09273948.2021.1872652. [Epub ahead of print].
crossref
15) Kim M, Kwon HJ, Choi EY, et el. Correlation between fluorescein angiographic findings and visual acuity in Behçet retinal vasculitis. Yonsei Med J 2015;56:1087-96.
crossref pmid pmc
16) Nicholson BP, Nigam D, Miller D, et al. Comparison of wide-field fluorescein angiography and 9-field montage angiography in uveitis. Am J Ophthalmol 2014;157:673-7.
crossref pmid pmc
17) Park DG, Ryu G, Kim D, Sagong M. Correlations between macular microvascular alterations and peripheral ischemia in patients with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20;61:491-9.
crossref pdf
18) Pecen PE, Petro KF, Baynes K, et el. Peripheral findings and retinal vascular leakage on ultra-widefield fluorescein angiography in patients with uveitis. Ophthalmol Retina 2017;1:428-34.
crossref pmid
19) Criteria for diagnosis of Behçet's disease. International study group for Behçet's disease. Lancet 1990;335:1078-80.
pmid
20) Jabs DA, Nussenblatt RB, Rosenbaum JT; Standardization of Uveitis Nomenclature (SUN) Working Group. Standardization of uveitis nomenclature for reporting clinical data. Results of the first international workshop. Am J Ophthalmol 2005;3:509-16.
21) Tugal-Tutkun I, Herbort CP, Khairallah M; Angiography Scoring for Uveitis Working Group (ASUWOG). Scoring of dual fluorescein and ICG inflammatory angiographic signs for the grading of posterior segment inflammation (dual fluorescein and ICG angiographic scoring system for uveitis). Int Ophthalmol 2010;30:539-52.
crossref pmid pdf
22) Takase K, Ohno S, Ideguchi H, et el. Successful switching to adalimumab in an infliximab-allergic patient with severe Behçet disease-related uveitis. Rheumatol Int 2011;31:243-5.
crossref pmid pdf
23) Bawazeer A, Raffa LH, Nizamuddin SH. Clinical experience with adalimumab in the treatment of ocular Behçet disease. Ocul Immunol Inflamm 2010;18:226-32.
crossref pmid
24) Hiyama T, Harada Y, Kiuchi Y. Efficacy and safety of adalimumab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non-infectious uveitis: efficacy comparison among uveitis aetiologies. Ocul Immunol Inflamm 2022;30:951-8.
crossref pmid
25) Yu HG, Kim MJ, Oh FS. Fluorescein angiography and visual acuity in active uveitis with Behçet disease. Ocul Immunol Inflamm 2009;17:41-6.
crossref pmid
26) El-Asrar AMA, Herbort CP, Tabbara KF. Differential diagnosis of retinal vasculitis. Middle East Afr J Ophthalmol 2009;16:202-18.
pmid pmc
27) Jones NP, Sala-Puigdollers A, Stanga PE. Ultra-widefield fundus fluorescein angiography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retinal vasculitis. Eye (Lond) 2017;31:1546-9.
crossref pmid pmc pdf
28) Kaines A, Tsui I, Sarraf D, Schwartz S. The use of ultra wide field fluorescein angiography in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uveitis. Semin Ophthalmol 2009;24:19-24.
crossref pmid
29) Leder HA, Campbell JP, Sepah YJ, et al. Ultra-wide-field retinal imaging in the management of non-infectious retinal vasculitis. J Ophthalmic Inflamm Infect 2013;3:30.
crossref pmid pmc pdf
30) Uzlu D, Köse B, Akyol N, et el. The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adalimumab in refractory non-infectious uveitis with ultra-widefield fundus fluorescein angiography. Int Ophthalmol 2022;42:2107-16.
crossref pmid pdf
31) Moon SW, Kim BH, Park UC, Yu HG. Inter-observer variability in scoring ultra-wide-field fluorescein angiography in patients with Behçet retinal vasculitis. Ocul Immunol Inflamm 2017;25:20-8.
crossref pmid
32) Campbell JP, Beardsley RM, Palejwala NV, et al. Peripheral vascular leakage in uveitis: clinical and angiographic findings. Ophthalmology 2015;122:1269-70.
crossref pmid
33) Keino H, Okada AA, Watanabe T, Taki W. Decreased ocular inflammatory attacks and background retinal and disc vascular leakage in patients with Behcet's disease on infliximab therapy. Br J Ophthalmol 2011;95:1245-50.
crossref pmid
34) Thomas AS, Redd T, Campbell JP, et al. The impact and implication of peripheral vascular leakage on ultra-widefield fluorescein angiography in uveitis. Ocul Immunol Inflamm 2019;27:349-55.
crossref pmid pmc
35) Karampelas M, Sim DA, Chu C, et al. Quantitative analysis of peripheral vasculitis, ischemia, and vascular leakage in uveitis using ultra-widefield fluorescein angiography. Am J Ophthalmol 2015;159:1161-8.e1.
crossref pmid
TOOLS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0 Scopus
  • 1,034 View
  • 29 Download
Related article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73 Inchon-ro, Seongbuk-gu, Seoul 02841, Korea
Tel: +82-2-2271-6603    Fax: +82-2-2277-5194    E-mail: journal@annocl.org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Optometry Society and The Korean Contact Lens Study Socie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